아칼라(Akala)는 영국의 작가, 시인, 역사가, 그리고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스스로를 ‘블랙 셰익스피어’로 지칭합니다. 그는 라디오 방송에서 10분 만에 즉흥적으로 27개의 셰익스피어 작품 타이틀을 랩으로 풀어내며 알려지기 시작했고, TED 강연에서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를 비트에 맞춰 랩으로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사회적 기업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의 설립자이기도 한 아칼라는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를 통해 청소년들이 셰익스피어와 힙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그들 삶의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영감을 제공하며,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공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6년 12월에 ‘힙합 셰익스피어’ 공연을 위해 방한한 아킬라를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 김경주 시인이 만나보았습니다. 아래의 인터뷰 2편에서는 힙합과 시, 그 둘 사이의 연결 고리에 대해서 이야기 나눕니다.
힙합은 문학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김봉현: 랩은 시라고 생각하시나요?
아칼라: 물론이죠. 랩은 시입니다. 엘리트 의식에 젖은 사람들은 랩이 시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시는 갇혀 있는 것도, 학문적이기만 한 특별한 것도 아닙니다. 랩에서 중시하는 리듬과 라임이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생생하게 살아 있지요. 하지만 모든 랩이 좋은 시는 아니라는 점 역시 말하고 싶네요.
김봉현: 저 역시 랩은 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김경주 시인, 엠씨 메타(MC Meta)와 함께 ‘포에틱 저스티스(Poetic Justice)'라는 프로젝트 그룹으로 활동 중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서로 동떨어져 있는 시와 랩을 억지로 엮는다’는 오해를 받고 있지요. 또 이런 측면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힙합 팬은 종종 이런 질문에 직면합니다. “욕이 등장하고, 남을 공격하는, 이런 음악을 대체 왜 좋아해?” 이런 부분은 랩을 시로 보아야 한다고 변론하는 이들에게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그들의 질문에 어떤 답을 줄 수 있을까요?
아칼라: 서구 시의 역사는 그리스의 호메로스(Homeros)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읽기 위한’ 작품이 아니라 애초에 ‘노래로 만들어진’ 작품이었습니다. 이런 작품들, 특히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는 많은 폭력과 심지어 살인까지도 담겨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Titus Andronicus)’를 보면 타이터스가 타모라의 두 아들을 사로잡아 고기파이로 만든 후 타모라에게 먹이는 끔찍한 장면이 나오는데요. 이를 보면 어떤 내용을 다루는지는 시가 될 수 있는 자격과는 상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지금 주목 받고 있는 힙합은 사실 극히 제한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섹스, 마약, 폭력 등 자극적인 것을 좋아하고 미디어는 그런 부분을 부각해 노출시킵니다. 지금 당신은 힙합 듀오 갱 스타(Gang Starr)의 후드를 입고 있는데, 갱 스타는 갱 폭력에 꾸준히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온 그룹이었어요. 그러나 이들의 목소리가 널리 퍼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지요.
김경주: 시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언어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벗어나려고 한다는 점인데요. 셰익스피어가 수많은 새로운 언어를 직접 만들어낸 사실도 이와 통하지요. 음악 역시 메시지나 언어 없이 무언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맹인 이들의 가슴에 웅덩이를 팔 수 있는 것이 바로 음악의 힘이지요. 이에 대한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아칼라: 음악에서도 언어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나스(Nas)의 ‘You're Da Man'에는 이런 가사가 있습니다. “망가진 하늘에서 죽은 새가 나는 광경을 봤지 (I saw a dead bird flying through a broken sky)”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한 구절이지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은 노벨문학상을 받기도 했던 포루투갈의 주제 사라마구(José Saramago)입니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 문장부호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데요. 이렇듯 일단 언어 규칙에 대해 잘 알아야 그것을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언어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셰익스피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는 생전에 수많은 언어적 실험을 시도했지요.